scispace - formally typeset
Search or ask a question

Showing papers in "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in 2004"



Journal Article
TL;DR: It is confirmed that Viscum album will not be released this year because of a disagreement over the wording of the contract.
Abstract: 배경: 악성 흉막 삼출액은 암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임상 증상이며, 진단이 되면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하는데,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화학적 흉막 유착술이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talc는 환자 삶 질을 향상시키는 못한다. 저자들은 악성 흉막 삼출액을 치료하는 다른 경화제인 Viscum album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1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악성 흉막 삼출액으로 치료를 받은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Talc group I (10명)과 Viscum album group II (7명)으로 나누어서 후향적으로 여러 가지 인자와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성별, 연령, 원발성 종양 및 병변 부위는 양군 간에 차이는 없었지만, 성공률은 group I에서 더 높았고, group II에서는 시술 후 더 짧은 흉관 유지 기간, 더 높은 Karnofsky performance와 낮은 재발률을 보여 주었다. 치료가 실패한 경우는 흉막 삼출액 pH 및 흉강삽관술 시행 후 화학적 흉막 유착술 기간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Viscum album을 이용한 화학적 흉막 유착술이 talc를 사용한 경우보다 성공률은 약간 낮았지만,악성 흉막 삼출액 환자의 삶에 대한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된 경우에 대용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Background: Malignant pleural effusion is a common clinical problem in neoplastic patients. With the diagnosis of a malignant pleural effusion, palliative therapy was done. One of the treatments was a chemical pleurodesis. Talc was the most commonly used a sclerosing agent, but the quality of patient's life was not improved. We was evaluated by other agents such as Viscum album for relief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 Material and Method: From November 2001 to October 2003, 17 patients who underwent to chemical pleurodesis for the malignant pleural effusion. We compared the talc (group I: 10 patients) and Viscum album (group II: 7 patients). We analysed them retrospectively in term of various factors and results.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in the sex ratio, mean age, origin of primary cancer and site, but, group I had higher successful rate (80% : 71 %) than group II. Group II had better length of chest tube stay after procedure, Karnofsky performance and recurrence than group I. The failed treatement group was related to the pleural fluid pH and interval of initial chemical pleurodesis after thoracostomy. Conculsion: Although the chemical pleurodesis with Viscum album was slightly lower than talc in the successful rate, there was an alternative method instead of the chemical pleurodesis with talc to improve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in malignant pleural effusion.】

4 citations







Journal Article
TL;DR: It is claimed that snuffbox fistula is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in children under the age of five in the United States.
Abstract: 만성 신부전증 환자에서 장기간 원활한 혈액투석을 위해서는 충분한 혈류가 유지되는 동정맥루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원에서는 최초의 동정맥루조성술로서 손목보다 원위부인 anatomical snuffbox에서 동정맥루를 시행하고 있다. Snuffbox fistula의 개존율과 합병증, 동정맥루 폐쇄의 위험요인, 재수술의 종류 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6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146건의 snuffbox fistula를 시행하였다. 그중 추적관찰이 불가능한 6예를 제외한 140예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토대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52 $\pm$ 15세(17∼79세)였고 남 : 녀 비는 80 : 60이었다. 당뇨병이 동반된 경우는 47예, 고혈압을 동반한 경우는 101예였다. 술 전 혈액검사 상 creatinine과 potassium 수치는 각각 9.09 $\pm$ 3.68 mg/dL (2.55∼20.09 mg/dL), 4.7 $\pm$ 0.9 mmol/L (2.3∼8.1 mmol/L)였고 수술부위는 113예에서 좌측 손에 시행하였고 27예에서는 우측 손에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후 평균 추적기간은 41.8 $\pm$ 31.0개월(0.2∼108.0개월)이었으며 추적기간 중 35명의 환자에서 동정맥루의 폐쇄가 발생하였고 이들의 평균 개존기간은 9.8 $\pm$ 10.1개월(0.1∼40.4개월)이었다. 전체 환자의 1개월, 1년, 2년, 3년, 5년 개존율은 각각 92.8, 80.2, 73.8, 71.3, 69.6%로 확인되었다. 동정맥루의 폐쇄에 기여하는 위험요인으로는 우측 snuffbox fistula (p-value=0.045), 고령(p-value=0.048)으로 확인되었다. 수술 후 합병증에는 정맥벽의 비후로 인한 동정맥루폐쇄가 24건, 혈전증이 9건, 혈관문합부협착으로 인한 폐쇄가 3건, 정맥 고혈압이 2건 발생하였다 1차 수술 이후에 37명의 환자에서 최소한 1회 이상의 재수술이 시행되었으며 총 재수술건수는 86건이었다 결론: 본원에서 시행한 snuffbox fistula는 비교적 양호한 개존율과 낮은 합병증 발생률을 보였다. 따라서 혈액투석이 필요한 만성 신부전증 환자에서 1차 동정맥루조성술을 anatomical snuffbox에서 할 수 있다면 만성 신부전증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rteriovenous fistula (AVF), which maintains satisfactory blood flow, is necessary to the patients of end-stage renal disease for the long term hemodialysis. We performed the snuffbox fistula as the first operation for hemodialysis vascular acces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atency rates, complications, risk factors for occlusion of the AVF, and the types of reoperations. Material and Method: We performed 146 snuffbox fistulas from Jun. 1994 to Dec. 2001 The records of the patients except six patients who were lost from follow up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Mean age and male:female ratio were 52 $\pm$ 15 years (range, 17∼79 years) and 80 : 60 respectively.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were combined in 47 patients and 101 respectively. Preoperative levels of creatinine and potassium were 9.09 $\pm$ 3.68 mg/dL (range, 2.55∼20.09 mg/dL) and 4.7 $\pm$ 0.9 mmol/L (range, 2.3∼8.1 mmol/L). One hundred thirteen cases of the snuffbox fistulas were done at left side hand and the others at right hand. Result: Mean follow up period of the patients was 41.8 $\pm$ 31.0 months (range, 0.2∼108,8 months). During the follow up period, 35 occlusions of AVF occurred and these AVFs were patent for 9.8 $\pm$ 10.1 months (range, 0.1∼40.4 months). The patency rates of f month, and 1, 2, 3, 5 years were known as 92.8, 80.2, 73.8, 71.3, 69.6% respectively. Right sided snuffbox fistulas (p-value=0.045) and old age (p-value=0.048) were revealed as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occlusion of AVF.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nsisted of occlusions of AVF caused by intimal hyperplasia of vein in 24, thrombosis in nine, stenosis of anastomosis site in three, and venous hypertensions in two. After the first operation 37 patients underwent 86 reoperations. Conclusion: The snuffbox fistulas showed acceptable patency rates and low complication rates. The snuffbox fistulas as the first operation for AVF formation can be a good option for the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2 citations







Journal Article
TL;DR: 배경: 흉관삽입술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만, 어떤 크기의 한편 최근
Abstract: 배경: 원발성 자연기흉의 흉관삽입술의 적응증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만, 어떤 크기의 흉관을 삽입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특별한 지침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최근에는 여러 가지 수술 수기에 대한 보다 최소한의 침습적인 치료방법들이 다양하게 소개되고 연구되는 경향이 있다. 본 교실에서는 이러한 추세에 따라 원발성 자연기흉의 흉관삽입슬에 있어서 기존의 24 Fr. 흉관을 12 Fr. 흉관으로 대신해 새로운 치료 지침에 따른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원발성 자연기흉으로 진단 받고 흉관삽입술을 시행한 30세 이하의 환자를 대상으로, 2003년 1월부터 2003년 5월까지 24 Fr.흥관삽입술을 시행받은 환자 19예는 A군, 2003년 11월부터 2004년 4월까지 12 Fr.흉관삽입술을 시행받은 환자 20예는 B군으로 각각 분류하여 흉관삽입 시술시간, 흉관 거치기간, 재원일수, 합병증, 수술여부, 재발여부를 후향적인 방법으로 비교 조사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남녀 비는 A군은 16 : 3, B군은 18 : 2였고, 나이는 A군은 21.7 $\pm$ 4.0세, B군은 20.0 $\pm$ 3.7세 였다. 흉관삽입 시술시간은 A군은 21.6 $\pm$ 2.9분, B군은 10.8 $\pm$ 1.9분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pm$ 1.7일, B군은 4.3 $\pm$ 2.2일이었으며, 재원일수는 A군은 5.6 $\pm$ 9일, B군은 5.2 $\pm$ 1.5일이었다. 흉관 삽입술에 따른 합병증은 두 군에서 모두 없었으며, 기흉의 재발과 지속적인 공기 누출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는 A군은 6예(35%), B군은 5예(25%)였다. 결과적으로 흉관삽입 시술 시간을 제외하고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원발성 자연기흉의 흉관삽입술시 12 Fr. 흉관으로도 24 Fr. 흉관과 비교하여 효용성에 차이가 없다는 점과, 보다 시술이 쉽고 용이하여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생각된다. 【Background: The indications of closed thoracostomy drainage in management of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is well known, but there is no special specification for the size to be inserted. Recently, various minimally invasive operational techniques have been introduced and researched. According to the trend, we tried to ascertain the efficacy of 12 Fr. chest tubes instead of the existing 24 Fr. chest tubes. Material and Method: Patients who were younger than 30 years old and diagnosed as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and treated with closed thoracostomy drainag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retrospectively compared group A who were drained with 24 Fr. chest tubes from January to May 2003 with group B with 12 Fr. chest tubes from November 2003 to April 2004 on procedure time for closed thoracostomy drainage, duration of chest tube drain, duration of hospital stay, complication, and recurrence. Result: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6 : 3 in group A and 18 : 2 in group B. The mean age of patients of group A was 21.7 $\pm$ 4.0 and group B was 20.0 $\pm$ 3.7. The mean procedure time for closed thoracostomy drainage in group A (21.6 $\pm$ 2.9 minutes)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group B (10.8 $\pm$ 1.9 minutes)(p $\pm$ 1.7 days in group A and 4.3 $\pm$ 2.2 in group B, and the mean duration of hospital stay was 5.6 $\pm$ 1.9 days in group A and 5.2 $\pm$ 1.5 days in group B. There was no complication in both groups and 6 cases in group A (35%) and 5 cases in group B (25%) were operated because of recurrence and persistent air leakage. In conclusion,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except for the procedure time for closed thoracostomy drainage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icacy between 12 Fr. chest tube and 24 Fr. chest tube in closed thoracostomy drainage for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and we found advantages of 12 Fr. chest tube in shortening procedure time because of easy and simple techniques.】










Journal Article
TL;DR: 기관지성 합병증이나 호흡곤란이었으며, 각근 진단방법의 발달로 그 빈도 증가하�
Abstract: 기관지성 낭종은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양성질환이지만 낭종에 의한 합병증이나 동반질환으로 인하여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며, 최근 진단방법의 발달로 그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약 30년 간 국립의료원에서 시행한 기관지성 낭종 27예에 대한 수술적 경험을 고찰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71년 3월부터 2003년 3월까지 기관지성 낭종으로 수술을 시행한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령 및 성 비율, 증상, 발생 위치, 방사선 소견, 동반된 질환, 술식의 종류, 병리소견, 수술 후 합병증 등을 분석 검토하였다. 결과: 전체 27예 중 호발연령은 소아부터 20대까지였으며, 남녀 비는 1 : 1.5였다. 술전 주요증상은 기침이나 호흡곤란이었으며, 각혈을 호소하는 환자도 있었다. 발생 위치는 폐실질에서 22예(81%)로 종격동의 5예(19%)보다 많았다. 단순 흥부 사진에서 낭종이 확인된 것은 13예(48.1%)였고, 전산화단순촬영을 시행한 경우는 13예였으며, 이 중 10예(76.9%)에서 낭종을 확인하였다. 전체 27예 중 15예(56%)에서 동반질환이 관찰되었다. 폐실질내 낭종 환자에서는 감염에 따른 염증성 질환이 주를 이루었고, 특이하게도 악성종양이 1예 있었다. 종격동내 기관지성 낭종 환자에서는 낭종의 압박에 의한 승모판 역류증과 기관지 폐쇄증이 1예씩 있었다. 수술 방법은 폐엽절제술이 13예(48%)로 가장 많았고 낭종절제술과 전폐절제술, 분절절제술이 각각 7예(26%), 4예(15%), 3예(11%)이었다. 병리소견상 낭종 내에서 농과 점액이 각각 9예(37%)가 있었으며 혈액이 2예(7.4%)에서 있었고, 암육종이 1예에서 있었다. 기관지와 연결이 있었던 경우는 13예로 약 48%였다. 수술 후 합병증은 5예(18.5%)에서 있었는데, 기흉과 농흉, 출혈 등이었다. 수술 후 사망환자는 없었다. 결론: 환자의 대부분이 증상을 호소하였고 치명적인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근의 영상화 기법의 발달로 술전진단의 정확성이 증가되었으며, 침습적인 진단 기법의 사용이 줄었다. 기관지성 낭종은 양성 질환이지만 여러 가지 증상과 악성화 및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진단 즉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Bronchogenic cyst is a rare and benign disease. Because of its complication or associated disease, Bronchogenic cyst requires surgical treatment.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methods, its incidence has increased. So we reviewed our results from the past 30 years. Material and Method: We reviewed 27 cases surgically treated from March 1971 to March 2003. This investigation is designed to illustrate the peak age incidence, sex ratio, symptoms, anatomic location, radiologic imagings, associated diseases, operative methods, postoperative pathologic findings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 The peak age incidence laid in the 1st to 3rd decade and the ratio of male and female was 1 : 1.5. The most common complaints were cough and dyspnea, but some had hemoptysis. There were 22 cases (81%) of Intrapulmonary bronchogenic cysts and 5 cases(19%) of mediastinal bronchogenic cysts. Thirteen cases (48.1%) showed cystic lesion in simple chest X-ray. Ten cases showed cystic lesion among 13 cases that had taken computed tomography. We found associated disease in 15cases (56%). The inflammatory diseases from infection were many in intrapulmonary bronchogenic cysts and especially, one case showed carcinosarcoma. Mitral regurgitation and Bronchial obstruction could be seen in mediastinal bronchogenic cysts. The 13 cases (48%) were managed by lobectomy, and cystectomy, pneumonectomy, and segemental resection were done in 7 cases (26%), 4 cases (15%), 3 cases (11%) respectively. Cystic contents were mucus in 9 cases, pus in 9 cases, blood in 2 cases, and carcinosarcoma in 1 case. Bronchotracheal communications were in 13 cases (48%). Five cases show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hich were pneumothorax, empyema, bleeding. Postoperative death could not be found. Conclusion: Almost all patients had clinical symptoms. Severe complications could be associated with bronchogenic cysts.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methods, preoperatively accurate diagnosis is possible; therefore, invasive study has decreased. Bronchogenic cyst is a benign disease. However, because of its clinical symptoms, complications, and possibility of malignant change, immediate surgical treatment is needed.】


Journal Article
TL;DR: It is reported that the most common cause of chest pains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chest pain is pneumonia, which is more common in women than in men.
Abstract: 이상우쇄골하동맥은 약 0.5~2%에서 발생하며, 성인의 경우 대부분이 임상적인 증상 없이 생활하나 약 10%에서 기관이나 식도의 압박에 의한 임상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수년간 연하곤란 및 반복되는 폐렴을 주소로 한 이상우쇄골하동맥을 가진 64세 여자 환자를 보고한다. 혈관 촬영상 좌우 경동맥(carotid artery)이 하나의 동맥간(common trunk)에서 기시하고 우측 쇄골하동맥은 좌측 쇄골하동맥 기시부 가까이의 상행대동맥 후방에서 기시하여 식도의 후방으로 주행하는 이상 우쇄골하동맥을 진단하였다. 수술적 치료는 우측 개흉술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식도의 후방부위를 박리하여 이상우쇄골하동맥을 완전히 박리하여 유동시켰다. 우쇄골하동맥을 박리한 후 근위부를 결찰하여 분리한 후 원위부를 인조혈관을 이용하여 대동맥 근위부와 연결하였다. 【Aberrant right subclavian artery (ARSA) is an anomaly with a reported incidence of 0.5% to 2%. Most patients with an ARSA remain asymptomatic; however about to% of adult patients have compressive symptoms. A case is reported of a 64-year old female patient who had a few years of history of dysphagia and recurrent pneumonia. Angiography was performed, which demonstrated an ARSA with common origin of the right and left carotid arteries. Surgical correction was performed via right thoracotomy. The proximal aberrant artery was mobilized behind the esophagus. The distal, right subclavian artery was exposed, transected, and transposed with reimplantation into the aortic root by graft bypass.】



Journal Article
TL;DR: The patient had expierienced pulmonary lymphangioleiomyomatosis with bilateral chylothorax and chylous ascites and died of respiratory insufficiency and general weakness after 6 months from admission.
Abstract: 림프관평활근종증은 드문 질환이며, 임상경과상 악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복통을 주소로 입원한 21세 여자 환자가 골반 내시경을 통해 난소 황체 출혈을 지혈하였고, 그 후 유미성 복수로 개복하여 후 복막에 위치한 낭성 종양을 절제하여 림프관평활근종증으로 조직 진단 받았다. 홀몬 치료 중 유미흉이 발생하여 흉부외과에서 개흉하여 림프액 누출부위를 봉합결찰하였고, 10% 포타딘 관주로 유미흉은 호전되었으나 유미성 복수가 재발하였으며 진단 6개월에 전신 쇠약과 호흡 부전으로 사망하였다. 【We had expierienced pulmonary lymphangioleiomyomatosis(LAM) with bilateral chylothorax and chylous ascites. A twenty-one-year-old lass with chief complaint of abdominal pain was admitted through the emergency room. She received emergent pelvicoscopic surgery for the rupture of the right corpus luteum. We aspirated 1000ml of the uncoagulated blood. The bleeding point was cautherized electrically. LAM was diagnosed with tissue from the retroperitoneum. Chylous ascites and bilateral chylothorax were occurred despite of various treatments. On thoracotomy, bullous changed lung and lymphatic leakage from visceral and parietal pleura were observed. She died of respiratory insufficiency and general weakness after 6 months from ad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