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space - formally typeset
Search or ask a question

Showing papers in "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in 2007"


Journal Article
TL;DR: APE/ref-1 항체에 대한 Western blot을 시행해 환자를 하였다, 결과: APE/ Ref-1은 주로 폐암 조직의 비 암세�
Abstract: 배경: 산화제와 항산화제 사이의 불균형은 폐암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APE/ref-1은 DNA의 복구와 많은 전사인자들의 산화환원 조절에 연관된 다 기능성 단백질이다. 그러나 폐암에서 APE/ref-1 발현수준의 변화는 알려져 있지 않다. 대상 및 방법: 49명의 수술적으로 제거한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APE/ref-1 항체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하였고, 특이 항체에 대한 Western blot을 시행해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APE/ref-1은 주로 폐암 조직의 비 암세포 부분은 핵에 국한되어 존재하였고, 암세포는 핵과 세포질 모두에 존재하였다. 비소세포성 폐암의 핵과 세포질의 APE/ref-1의 발현은 증가되어 있었고 이는 임상적인 병기와도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인 catalase는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현격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결론: APE/ref-1, 특히 세포질 내의 APE/ref-1의 증가는 산화스트레스에 보상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하며 catalase의 감소는 폐암의 특성을 나타내는 세포 외부의 산화환원과정에 근본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An imbalance between oxidants and antioxidants leads to oxidative stress, and this has been propos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lung neoplasm. Apurinic/apyrimidinic endonuclease-1/redox factor-1 (APE/ref-1) is a multifunctional protein involved in DNA base excision repair and the redox regulation of many transcription factors. However, the alteration of the expressed levels of APE/ref-1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is unknown. Material and Method: Forty-nine patients with surgically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APE/ref-1 antibodies was performed, and their expressions were analyzed via Western blotting for specific antibodies. Result: APE/ref-1 was localized at the nucleus and mainly in the non-tumor region of the NSCLC tissue specimens; it was expressed in the cytoplasm and nucleus of the NSCLC. The nuclear and cytoplasmic expressions of APE/ref-1 in lung cancers were markedly up-regulated in the NSCLC, and this was correlated with the clinical stage. Catalase, as first-line antioxidant defense, was dramatically decreased in the NSCLC. Conclusion: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APE/ref-1, and especially cytoplasmic APE/ref-1, was upregulated in the lung cancer regions, and this may contribute to the compensatory defense system against oxidative stress. A low expression of catalase might have fundamental effects on the extracellular redox state of lung tumors, along with the potential consequences for the tumors.】

6 citations


Journal Article
신홍주, 송명근, 김희중, 주석중, 김재중 
TL;DR: The i-STAT® BNP test is an in vitro diagnostic test for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B-type natriuretic peptide (BNP) in whole blood or plasma samples using EDTA as the anticoagulant.
Abstract: Helvetica Neue 55 Roman,Helvetica Neue 56 Italic,Helvetica Neue 75 Bo ld ,He lve t ica Neue 76 Bold Italic,Helvetica Neue 95 Black,Symbol (OTF) Regular,Zapf Dingbats ITC by BT Regular Intended Use The i-STAT® BNP test is an in vitro diagnostic test for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B-type natriuretic peptide (BNP) in whole blood or plasma samples using EDTA as the anticoagulant. BNP measurements can be used as an aid in the diagnosis and assessment of the severity of congestive heart failure.

4 citations








Journal Article
TL;DR: In this article, the authors proposed a method to solve the problem of how to find the optimal solution for a given problem by using the information from the source code of the target code.
Abstract: 배경: 급성A형대동맥박리증의 급성기 수술은 지금까지 상행대동맥만 치환하는 것을 표준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수술 수기가 발달되어 대동맥궁치환술의 성적이 상행대동맥치환술과 별 차이가 없다는 보고가 늘고 있다. 이에 저자는 급성기의 대동맥궁치환술이 상행대동맥치환술에 비해 중단기 경과는 어떤지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 및 방법: 2002년부터 2006년까지 본원에서 수술 받은 25명의 급성A형대동맥박리증 환자를 분석했다. 이 중 12명에서 상행대동맥치환술을 시행했고 13명에서 대동맥궁치환술을 시행했는데 대동맥궁치환술을 받은 환자 중 5명은 말초에 스탠트 인조혈관을 삽입하였다. 수술 후 외래에 추적 가능한 환자는 19명이었는데 대동맥궁을 치환한 환자군은 두 명이 탈락되어 11명이고, 상행대동맥만 치환한 환자는 수술에서 생존한 8명이었다. 평균 추적일은 $756{\pm}373$ 일이었다. 수술 후 최근까지 외래에서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치환 말단의 대동맥을 관찰하였다. 결과: 수술 사망은 상행대동맥치환술군에서만 4명이 발생하여 전체 수술 사망률은 16%였다. 대동맥궁을 치환한 환자군에서는 추적한 11명 중 2명(18.1%)이 치환 원위부 대동맥 확대가 관찰되었는데 반해서, 상행대동맥만 치환한 환자군에서는 8명 중 5명(62.5%)이 관찰되었다. 대동맥궁치환과 함께 스탠트그래프트를 삽입한 환자 4명 중 한 명이 스텐트 직하방 하행대동맥 이하가 늘어나 흉복부대동맥치환술을 시행받았다. 결론: 대동맥궁치환술은 급성대동맥박리증에서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수술이다. 급성대동맥박리증의 수술은 대동맥궁치환술의 적극적인 적용이 만기 이차 수술을 줄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율동으로 돌아왔다. 결론: 혈중 BNP 농도의 증가는 심장 수술 후 심방세동 발생을 예측하는 데 유용한 인자이다. 심방세동 발생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술 후 적극적으로 예방적 항부정맥제 사용을 고려해야 한다.많으며 한국산 연어 계군을 타 계군과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는 표식도 아직까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기생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한국산 연어의 계군 분석에 대한 최근의 연구 결과에 관하여 마지막으로 언급하였다.산화됨과 동시에 출력 산소농도가 입력농도와 다시 같아질 때까지 소요된 구간이 산화시간이 된다._{35}$ 박막 내의 상대적으로 원자 밀도가 큰 기둥(Columnar)구조가 생성되고, 이 원자 밀도가 높은 기둥구조의 댕글링본드와 주입된 수소가 흡착하여 에너지대의 국재준위를 감소시키기 때문으로 판단된다.법으로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차 shimming 을 통하여 불균일도를 개선하고, single shot 과 interleaving 을 적용한 multi-shot 나선주사영상 기법으로 $100{\times}100$ 에서 $256{\times}256$ 의 고해상도 영상을 얻어 고 자장에서 초고속영상기법으로 다양한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연구에서 연구된 $[^{18}F]F_2$ 가스는 친핵성 치환반응으로 방사성동위원소를 도입하기 어려운 다양한 방사성의 약품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었으나 움직임 보정 후 영상을 이용하여 비교한 경우, 결합능 변화가 선조체 영역에서 국한되어 나타나며 그 유의성이 움직임 보정 전에 비하여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뇌활성화 과제 수행시에 동반되는 피험자의 머리 움직임에 의하여 【Background: Replacing the ascending aorta is a standard surgical option for treating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But replacing the aortic arch has recently been reported as an acceptable procedure for this disease. We compared the effects of aortic arch replacement for treating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with the effects of ascending aortic replacement. Material and Method: From 2002 to 2006, 25 patients undewent surgical treatment for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12 patients undewent ascending aortic replacement and 13 patients underwent aortic arch replacement. Among the aortic arch group, an additional distal stent-graft was inserted during the operation in 5 patients. 19 patients (11 arch replaced patients and 8 ascending aortic replaced patients) were followed up at the out patient clinic for an average of $756{\pm}373$ days. All the patients undewent CT scanning and we analyzed their distal aortic segments. Result: 4 patients who underwent ascending aortic replacement died, so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16%. Among the 11 long term followed-up arch replacement patients, 2 patients (18.1 %) developed distal aortic dilatation and one of them underwent thoracoabdominal aortic replacement later on. However, among the 8 the ascending aortic replaced patients, 5 patients (62.5%) developed distal aortic dilatation. Conclusion: Aortic arch replacement is one of the safe options for treating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Aortic arch replacement for treating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could contribute to a reduced distal aortic dilatation rate and fewer secondary aortic procedures.】

2 citations


Journal Article
TL;DR: 배경: 중증근무력이 흉선종은 평균 나이가 50.3{\sim}64.5$ ( $37.7$) 한다.
Abstract: 배경: 중증근무력증 환자의 약 10% 정도에서 흉선종이 동반된다. 흉선과 흉선종은 중증근무력증의 병태생리에 의미 있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흉선 절제술 후 환자의 증상과 예후에 흉선종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흉선종이 중증근무력증 환자의 증상 관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7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중증근무력증으로 확대 흉선절제술을 시행받은 1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흉선종군은 30명, 비흉선종군은 70명이었고, 두 군간의 수술 전후 Ossermann병기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비흉선종군은 평균 나이가 34.7 ( $12.7{\sim}47.7$ )세였다. 그리고, 수술 전 Ossermann 병기는 평균 3.06이었고, 수술 우 평균 1.41로 감소하였다 흉선종군은 평균 나이가 50.9 ( $37.3{\sim}64.5$ )세였다. 그리고, 수술 전 Ossermann 병기는 평균 3.00이었고, 수술 후 평균 1.47로 감소하였다. 남자의 비율은 흉선종군보다 비흉선종군에서 더 높았다(35% vs 30%). 흉선종의 Masaoka 병기는 1기가 27명, 2기가 3명이었다. 흉선종군과 비 흉선종군 간의 Ossermann 병기 변화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p=0.09). 결론: 흉선종의 유무는 흉선제거술을 시행받은 중증근무력증 증상의 관해나 호전에 영향이 없었다. 【Background: Thymoma occurs in approximately 10% of myasthnia gravis patients. The thymus or a thymoma plays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myasthenia gravis. However, there is currently no definitive position about the effect of thymectomy on patients' symptoms and prognosis. We retrospectively studied the effect of thymoma on re-mission in patients who underwent thymectomy for myasthenia gravis. Material and Method: From July, 1992 to December, 2002, we performed extended thymectomy due to myasthenia gravis for 100 patients. The thymoma group included 30 people, the non-thymoma group included 70 people and the change of the Ossermann stage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surgery was compared. Result: For the non-thymoma group, the average age was 34.7 years (range: $12.7{\sim}47.7$ ). Before the surgical operation, the Ossermann stage for the non-thymoma group was an average of 3.00, and this was reduced to an average of 1.41 after operation. For the thymoma group, the average age was 50.9 years (range: $37.3{\sim}64.5$ ). Before the surgical operation, the Ossermann stage for the thymoma group was an average of 3.00, and this was reduced to an average of 1.47 after operation. The non-thymoma patients had a higher proportion of males than the thymoma patients (35% vs 30%, respectively), The Masaoka stage was stage of the thymoma group was I for 27 patients and stage II for 3 patien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Ossermann stage change between the thymoma and non-thymoma groups. Conclusion: Whether thymoma was present or no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remission and improvement of myasthenia symptoms after thymectomy in the myasthenia gravis patients.】

2 citations










Journal Article
TL;DR: 배경: 개심술 시 불충분한 심근 보호로 인한 허혈과 재관류 손상은 술 후
Abstract: 배경: 개심술 시 불충분한 심근 보호로 인한 허혈과 재관류 손상은 술 후 심실 기능과 예후에 영향을 미친다. 본 저자들은 승모판막 수술에서 HTK 용액과 냉혈 혈성 심정지액이 심근 보호와 임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뜻 방법: 승모판막폐쇄부전으로 승모판막수술을 받는 70명의 환자 중 8명의 환자를 제외한 31명에서 HTK 용액을(HTK군), 31명에서 냉혈 혈성 심정지액을(CBC군) 사용하였다. 수술 중과 후에 환자의 혈역학, 심혈관계 약물과 심장박동조율기의 사용, 임상경과 및 합병증을 관찰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최소 6개월 이상 사망률과 이환율을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 혈역학적 변수는 평균폐동맥압, 중심정맥압과 폐모세혈관쐐기압이 체외순환으로부터 이탈 후 시기에 HTK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던 점을 제외하고는 모든 시기에서 군 간 차이가 없었다. 심근수축제와 심장박동조율기의 사용은 모든 시기에서 군 간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1일과 2일째 CK-MB 수치는 HTK군에서 $77{\pm}54,\;41{\pm}23$ (ng/mL)로 CBC군의 $70{\pm}69,\;44{\pm}34$ (ng/mL)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개월 이상의 추적관찰 중 임상경과는 비슷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HTK 용액은 냉혈 혈성 심정지액과 비슷한 심근 보호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kground: Ischemia-reperfusion injury related to unsuccessful myocardial protection affects postoperative ventricular function and mortality during open-heart surgery. We prospectively compared the effects of administration of histidine-tryptophan-ketoglutarate (HTK) solution and cold blood cardioplegia (CBC) on myocardial protection and clinical outcome in patients undergoing mitral valve surgery. Material and Method: Seventy patients with mitral regurgitation (MR) undergoing mitral valve surger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HTK group (n=31) and the CBC group (n=31 ): eight patients were excluded. Perioperative hemodynamics, cardiac medications, pacing, postoperative outcomes and complications were recorded during the hospital stay. All patients received follow-up for at least 6 months postoperatively for morbidity and mortality. Resuか: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emodynamics between the groups during the study period, except for the 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 (MPAP), PCWP and CVP that were lower in the HTK group at 15 min after weaning of CBP. There were no differences for inotropic support and pacing during the 12 hrs postoperatively between the groups. CK-MB values on day 1 and day 2 were $77{\pm}54$ and $41{\pm}23$ for the HTK group and $70{\pm}69$ and $44{\pm}34$ for the CBC group, respectively (p=NS).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for at least 6 months during the follow-up perio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HTK solution is as safe as cold blood cardioplegia in terms of myocardial protection.】

Journal Article
TL;DR: In this paper, the authors presented the results of a survey of the Korean population in 1990, 2005, and 2007, and showed that only 3.1%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Abstract: 배경: 골육종 환자의 폐전이는 외과적 절제술이 표준치료로 인정되고 있으나 반복적인 폐전이에 대한 절제술의 역할은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다. 저자들은 폐전이를 보인 골육종 환자에서 반복적인 폐전이 절제술의 생존율과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2005년 7월까지 골육종 폐전이를 진단받은 62명의 환자 중 폐전이 절제술을 시행받은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36명의 환자에서 모두 62회의 폐전이 절제술을 시행했으며 18명에서 2차 폐전이 절제술을, 7명에서 3차 폐전이 절제술을, 1명에서 4차 폐전이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1차 폐전이 절제술 후 중앙 생존기간은 20.5개월, 3년 및 5년 생존율은 32.6% 및 29.4%로, 2차 폐전이절제술 후의 중앙생존기간 11.3개월, 3년 및 5년 생존율 34.9% 및 34.9%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차 폐전이 절제술 후 중앙 생존기간은 7.1개월로 유의하게 짧았다(p=0.01). 장기 생존한 군에서 비-장기 생존자에 비해 여성, 무병생존기간이 12개월 이상, 단일 전이 병소, 구역절제술 이상의 수술이 많았으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골육종 환자에서 반복적인 폐전이 절제술은 유용한 치료방법이라 생각되며, 일부 환자에서는 장기 생존을 기대할 수 있었다. 예후인자에 대하여는 향후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Background: Surgical resection is a standard treatment for pulmonary metastases in patients with osteosarcoma, but the role of performing repeated resections is not clear. This study was designed to clarify the feasibility of performing a repeated pulmonary metastasectomy and the prognostic factors for pulmonary metastases in patients with osteosarcoma. Material and Method: Between January 1990 and July 2005, 62 patients with osteosarcoma were diagnosed with pulmonary metastases and 36 patients underwent pulmonary resection. We reviewed the patients retrospectively. Result: The total number of pulmonary metastasectomies was 62 in 30 patients. Among 36 patients, 18 had a second metastasectomy, 7 had a third metastasectomy, and one patient had a fourth metastasectomy. There was no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etastatectomy in terms of median survival time, and the 3-year and 5-year survival rate (first resection: 20.5 months, 32.0% and 29,4%; second resection: 11.3 months, 34.9% and 34.%). However, the median survival time (7.1 months) was shorter in patients with a third metastatectomy than in patients with one metastatectomy (p=0.01). In long-term survivors, the number of female patients, patients with a disease free time longer than 12 months, patients with a single metastasis and patients with anatomic resection was larger when compared to non-long term survivors, but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Repeated pulmonary metastasectomy is expected to prolong survival time in patients with osteosarcoma, and is expected to increase long-term survival in selected cases. Further studies with a large number of patients are necessary.】

Journal Article
TL;DR: 배경: 자발성 기흉은 임상에서 흔히 접하는 호흡계 질환으로, 해 누출된 공�l가 �
Abstract: 배경: 자발성 기흉은 임상에서 흔히 접하는 호흡계 질환으로, 기낭의 파열로 인해 누출된 공기가 흉강에 축적되는 질환이다. 기흉의 원인이 되는 기낭의 형태와 미세구조는 잘 알려져 있으나 기낭이 파열되는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 동안 기상요소인 기압 및 기온이 자발성 기흉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Journal Article
TL;DR: A tracheostomy assisted with an emergency bypass system as a possible method for avoiding this complication in severe tracheal stenosis.
Abstract: 고도의 기관 협착에서 기도 확보는 어려운 문제이며, 시술 중의 기도 폐쇄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응급 체외 순환기를 이용한 기관절개술을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Airway management is difficult problem in severe tracheal stenosis. A total airway obstruction during the procedure resulted in a fatal outcome. We suggest a tracheostomy assisted with an emergency bypass system as a possible method for avoiding this complication.】